Published on 3월 21st, 2018 | by 경계를넘어
최재훈┃경계를넘어 회원 * 이 글은 사회변혁노동자당에서 발행하는 <변혁정치> 59호(2018.02.01자)에 게재된 글입니다. 평소 주위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다 보면, 지리적인 개념으로서의 ‘중동 국가들’을 하나로 묶어주는 또 다른 명칭이 ‘아랍 국가’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을 간혹 마주치게 된다. 굳이 복잡하게 따져볼 ... Read More →
Published on 5월 4th, 2017 | by 경계를넘어
[아시아 생각]모든 적대행위, 외세 개입 중단에서 시작해야 2017.04.28 16:02:49 지난번 기고(☞시리아 토마호크 공습, 짜고 친 힘자랑 )에서 시리아 정부군 공군기지를 대상으로 한 미국의 토마호크 미사일 공격이 현재 바닥을 기는 트럼프 미 대통령의 낮은 국내 지지율과 대선과정에서 ... Read More →
Published on 5월 2nd, 2017 | by 경계를넘어
[아시아 생각] 갈팡질팡 트럼프 외교 정책, 신뢰 안간다 2017.04.14 08:21:05 “시리아를 공격하지 말라. 만약 그렇게 한다면, 아주 안 좋은 일들이 벌어질 것이다.” “시리아를 공격하기에 앞서 대통령은 반드시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만 한다. 그렇지 않으면, 그건 큰 ... Read More →
Published on 1월 10th, 2017 | by 경계를넘어
알레포를 빼앗긴 건 공습 때문만은 아니다 기원 전 6세기경에 형성되기 시작해 한 때 콘스탄티노플(지금의 이스탄불), 카이로에 이어 오토만 제국에서 세 번째로 융성했던 도시. 그래서 그 구시가지 전체가 유네스코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도 했으며, 불과 5년 전까지 시리아에서 가장 ... Read More →
Published on 10월 28th, 2016 | by 경계를넘어
[이제는 평화] 그들은 물었다…누구를 위한 평화인가? 흔히 여론조사 전문가들은 사람들이 투표할 때 잠재 의식 속에 자리한 위험 회피, 혹은 이익 확정 심리에 따라 왠지 부정적인 느낌을 주는 ‘아니오’보다는 ‘예’를 선택하는 경향이 높다고 주장한다. 지난 6월 영국의 ... Read More →
Published on 4월 15th, 2016 | by 경계를넘어
최재훈(경계를넘어 회원) 2016년 새해를 맞아 전 세계 시민들이 들뜬 마음을 아직 채 가라앉히기도 전인 지난 1월 중순의 어느 날, 튀니지 중부 지방에 위치한 카세린 시에 살던 청년 리다 야히야위는 고압 전류가 흐르는 전신주에 힘겹게 오르고 있었다. ... Read More →
Published on 2월 16th, 2016 | by 경계를넘어
테러로부터 안전한 세계를 만드는 것은 지역 민중들의 몫 캐나다 출신의 사회운동가이자 저술가인 나오미 클라인의 저서 <쇼크 독트린(The Shock Doctrine)>에는 원래 ‘재난 자본주의의 부흥(the Rise of Disaster Capitalism)’이라는 부제가 따라 붙습니다. 여기서 그가 말한 ‘재난 자본주의’란, 대중들이 ... Read More →